본문 바로가기
음악

내가 겪은 음악 매체의 변천사 (7), 스트리밍(네트워크, 스마트폰 시대)

by LarsUlrich 2024. 11. 24.
반응형

Apple iPhone 3GS, 대한민국 스마트폰의 시작

 

2010년대 이후 플래시 메모리의 양산과 더불어 찾아온 시대의 변화는 고속 무선 통신 기술의 대중화였습니다. 이는 스마트폰 시장의 시작과도 관련되어 있는데, 2000년대 중반까지 닫힌 시장이었던 대한민국의 개인 통신기기(휴대전화) 시장에 200911월 애플의 아이폰이 도입되며 본격적인 경쟁 구도가 시작되었습니다. 그전까지는 휴대전화마다 각각의 OS에서 이용하는 조악하고 비싼 요금제의 서비스들이 주류였는데, KT에서 아이폰을 국내 시장에 도입하며 전국의 자사 WIFI 망을 개방하고, 3G 무선인터넷 요금제를 출시하여 본격적인 스마트폰 시대를 열었습니다.

 

스마트폰 초기 시대만 하더라도, 기존의 MP3 플레이어 시대와 비슷하게 음원 파일을 기기에 전송하여 듣는 것이 보통이었습니다. PC와 다르게 고속화된 통신 서비스가 완전히 정착되지 않았고, 음원을 스트리밍으로 제공하는 업체가 많지 않았으며, 인터넷 사용량에 비례한 요금제의 부담이 여전히 있었기 때문입니다. 2010년대를 지나며 4G/LTE 통신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제공되어 고속으로 스마트폰에 탑재된 각종 앱/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3G 시절 낮은 화질과 전송속도로 이용자가 많지 않았던 영상 사이트(유튜브 등)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오프라인 매체로 음반을 판매/소비하던 경향이 온라인 스트리밍으로 대거 전환했습니다.

 

스트리밍 서비스가 PC/스마트폰 음악 감상의 주류로 자리 잡으며 생긴 음반 시장의 변화도 주목해야 하는데, 판매량에 따라 성패가 갈리는 정규앨범의 음반 발매가 축소되고 싱글/EP 앨범 발매가 늘었습니다. 온라인을 통해 적은 비용으로 음원의 홍보와 유통이 가능해진 탓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