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4k3

2024/03/20 LGUP830 32"(80cm) 4K 모니터를 구입했습니다. 나만의 책상을 다시 펴고, 의자까지 생기니 노트북을 사용하는 시간이 늘었습니다. 노트북의 17.3" 화면은 집중해서 보다 보면 아무래도 눈이 아프고, 화면 자체가 작다 보니 편집 등을 할 때 효율이 약간 떨어지는 느낌도 들었습니다. 17.3" QHD(2560x1440)에서 확장이라는 느낌을 받으려면 화면 크기가 커지는 것 말고도 해상도가 높은 모니터가 필요했습니다. 결론은 32" 4K(3840x2160) 모니터라는 답을 얻었습니다. 32" 4K 모니터는 단순히 제조사에 따른 가격대도 굉장히 다양했고, 사양과 부가 기능의 세세한 차이도 꽤 존재했습니다. 처음에는 나중에 데스크톱 셋업+게이밍을 감안해서 144hz 이상의 고주사율 모니터를 생각했으나, 그간에 해 왔던 게임들을 생각했을 때, 높은 주사율이 필요.. 2024. 3. 20.
스마트TV 에서 NAS의 4K 동영상 볼 때 화질이 저하되는 이유 LG의 75SJ8570 4K TV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NAS는 Synology 의 916+를 사용하고 있구요. 어느날부터 TV에서 직접 NAS의 4K 동영상을 불러오면, 몇기가 짜리의 동영상이 몇백메가 로 용량이 줄어 보이고, 화질도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아마 NAS의 설정을 변경한 기억을 잊고 있었겠죠.) TV 자체의 설정은 아무리 살펴봐도 4K 동영상의 스트리밍/재생에 관여할 부분이 없었기에, NAS의 패키지와 설정을 뒤지다가 겨우 원인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미디어 서버의 설정 때문입니다. 패키지 센터에서 미디어 서버를 엽니다. DMA 호환성 탭에서 비디오 트랜스코딩 활성화를 해제합니다. * 위의 설정은 Video station 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2018. 3. 12.
40" UHD TV를 구매했습니다. 얼마전까지 LG 32인치 FHD TV를 모니터로 사용하다가, 화소 크기와 색감의 압박으로 인한 불편을 견디지 못하고 중소기업 UHD TV 를 구매했습니다. 일단 가격이 저렴하기도 하고, 해년마다 가격이 낮아지는 디스플레이 제품들의 추이를 볼 때 무상 AS 기간(1년) 내에만 무탈하게 써도 충분히 값어치를 할 거라는 판단 때문이었습니다. 제가 산 건 프리즘 社의 것입니다. 지금 시장에 유통되는 40인치 UHD TV는 대부분 중국의 제품을 브랜드만 달리해서 여러 회사에서 팔고 있는 것으로 제품 알맹이는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ZEPA, KLEINZ, 프리즘, 씨네아이 등...) VA패널, 4K(3840x2160), 60Hz, 크로마서브샘플링 4:4:4 지원, 8ms 응답속도, 8bit+FRC 등.사양도.. 2018. 1. 9.
반응형